본문 바로가기
생활이슈

동덕여대 본관 점거 사태 총정리: 학생 고소부터 전격 취하까지, 그 이유는?

by Melon.Y 2025. 5. 15.
반응형

동덕여대가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를 벌였던 학생들에 대한 형사 고소를 결국 전면 취하했습니다.

학생들은 본관을 점거했는가?

 

사건의 발단: ‘공학 전환’ 논의의 불씨

202411월, 동덕여자대학교가 돌연 남녀공학 전환 추진 방침공식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 사이에선 “충분한 사전 논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됐다”불만이 터져 나왔습니다.

공청회도 없었고, 학생 의견을 무시한 학교가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은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본관 점거 농성돌입하게 됩니다.

본관 점거, 24일간의 기록

학생들은 본관 건물에 출입을 통제하고, 일부 내부 시설에 래커칠하는 방식으로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시위는 무려 24일간 이어졌고, 대학 역사상 이례적인 규모의 점거 농성으로 남게 됩니다.

시위 일부 문구:

  • 여대 정체성을 지켜라”
  • 공론화 없는 공학화는 거부한다”

학교 측은 이를 두고 업무방해와 재물손괴주장하며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합니다.


학교의 고소, 그리고 충격적인 금액

점거가 끝난 뒤, 동덕여대는 총학생회장 21명을 형사 고소하며 법적 조치를 취했습니다.
손해액만 최대 54으로 추산하며 충격을 줬습니다.

  • 혐의: 공동재물손괴, 업무방해
  • 고소 대상: 총학생회 임원 시위 참여자
  • 관련 민원·고소·고발 건수: 75

이에 대해 학생 측은 “처벌이 아닌 대화를 요구한다”강하게 반발했습니다.


학내외 반응은?

해당 사안은 단순한 학내 분쟁을 넘어서 여대의 정체성 문제, 학생 참여권 보장 문제번졌습니다.
SNS언론을 통해 많은 이들이 의견을 쏟아냈고, 학내 민주주의둘러싼 논의가 커졌습니다.

 

동덕여대, 학생 고소 전격 취하

2025514일, 동덕여대는 본관 점거 시위에 참여했던 학생들에 대한 형사 고소를 전면 취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김명애 총장은 담화문을 통해 이렇게 밝혔습니다.

처벌보다는 대화와 포용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교육기관의 책임을 다하고자 한다.”

결정은 내부 반목과 학교 이미지 실추 현실적 부담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학생 비대위의 입장도 변화

학생 대표 격인 비상대책위원회도 공식 입장을 냈습니다.

입장의 차이를 인정하며, 구성원 모두가 받은 상처에 진심으로 안타까움을 느낀다.”

양측 모두 감정적 골을 메우려는 자세를 보이며, 갈등 국면이 일단락되는 모양새입니다.


그러나 ‘수사’계속된다

고소는 취하됐지만, 경찰 수사는 여전히 진행 입니다.

  • 현재까지 33입건 (공동재물손괴 등)
  • 고소 외에도 다수의 외부 고발 진정있어, 수사 강행
  • 경찰 측 “사건은 반의사불벌죄가 아니며, 법에 따라 처리 예정”

결국 법적 책임 문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갈등 해결의 방향성

학교 측은 ‘공학 전환 공론화위원회’구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위원회에는 학생·교수·직원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투명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이는 그간 부족했던 ‘공론화’대한 후속조치이자, 다시는 이런 갈등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의지로 해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