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이슈

제주항공 1분기 적자 기록 - 이유 및 향후 전망, 무안공항 참사

by Melon.Y 2025. 5. 15.
반응형

제주항공이 20251분기에 326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2무안공항에서 발생한 대형 사고 이후 운항편수 감축과 고환율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제주항공 20251분기 실적 분석

제주항공은 2025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847원과 영업손실 326원, 당기순손실 327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30.8% 감소한 수치로, 지난해 1분기에는 영업이익 789원, 순이익 472원을 기록했었습니다.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

  1. 운항편수 감축: 지난해 12무안공항에서 발생한 대형 사고 이후, 제주항공은 운항 안정성 강화를 위해 2025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4%운항편수를 줄였습니다. 
  2. 환율 상승: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125상승한 1,453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로 인해 항공기 임차료, 정비비, 유류비 달러로 결제하는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대응 전략 향후 계획

제주항공은 운용 효율화를 위해 리스 항공기를 반납하고, 신형 항공기를 구매 도입하고 있습니다. 20251월에는 B737-8 항공기 1대를 도입했으며, 상반기 2대를 추가로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여객기 평균 기령을 낮추고, 연간 14%운용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무안공항 대형 참사, 그날 이후 항공사는 어떻게 달라졌나

20241229일, 무안공항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

제주항공 여객기 7C2216편이 무안국제공항에 착륙하던 활주로 외벽과 충돌,
이후 항공기에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서 참사가 벌어졌습니다.

탑승자 181179명이 사망, 2명만이 구조된 국내 항공 역사상 최악의 인명 피해였습니다.
구조 당국은 “기체 대부분이 화염에 휩싸여 골든타임 확보가 어려웠다”밝혔습니다.

사고는 20만에 벌어졌고, 이후 항공당국과 제주항공 모두 충격에 빠졌습니다.


사고 원인, 아직도 ‘조사 중’

사고 원인은 아직까지 공식 발표되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은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
  • 랜딩기어 파손
  • 자동항법장치 이상
  • 활주로 구조물과의 충돌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NTSB 국내외 항공안전기관이 합동 조사 중입니다.


 제주항공의 책임과 변화

사고 이후 제주항공은 안전 체계 전면 개편나섰습니다.

내부 조치

  • 해당 기종(B737-800) 전수 정비 실시
  • 조종사 재교육 비상 착륙 훈련 강화
  • 안전관리위원회 개편 외부 민간 전문가 참여

대국민 사과 보상

  •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 공개 사과
  • 유족 대상 긴급 보상안 발표 (1인당 최대 6지급 합의)
  • 사고 발생 직후 일부 노선 전면 운휴


신뢰도 추락과 업계 영향

사고 이후 제주항공은 극심한 예약 취소와 브랜드 이미지 하락겪었습니다.

  • 국내외 예약률 42% 감소
  • 항공안전등급 한시적 하향
  • 주가 급락 투자자 이탈
  • 항공업계 전반의 안전 재점검’ 분위기 확산

사고는 제주항공만의 위기가 아닌, 국내 항공업계 전체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복을 위한 절박한 시도들

현재 제주항공은 신형 항공기 도입, 운항 노선 재정비, 승무원 안전훈련 강화 등을 추진 중입니다.
또한 노선 구조조정함께 안전 중심 경영체계 전환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여론의 시선은 차갑고, 실적은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반응형